드라마나 영화에 나오는 재벌들을 보면 은행에서 보통의 사람들과는 달리 따로 준비되어 있는 공간에서 일대일로 업무를 진행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그들이 은행에 떴다 하면 지점장 정도의 높은 직급의 사람이 버선발로 뛰쳐나와 모셔가는 모습을 보면 정말 현실에서도 저렇게 하는지 의문이 든다.

hankookilbo

일명 VIP인 그들이 업무를 보는 공간이 따로 준비되어 있는 것은 근처 은행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렇지만 평소에는 늘 문이 닫혀 있어 그 내부를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내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VIP가 되어야 하는 데, 과연 어떤 이들이 VIP일까? VIP가 되기 위한 조건과 보이지 않는 VIP 룸 내부에서는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지 알아보겠다.

은행 VIP 선정 기준은 은행과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전에는 5억 원 이상 고액 자산가에게만 해당되었지만, 2015년에는 1억 원 정도까지 낮아졌던 것처럼 시기별 경제 상황이나 사회 흐름에 따라 조건이 변경되기도 하는 것이다. 보통 거래 실적, 평균 잔액 등을 통해 부여하는 점수를 기준으로 하며 일정 점수를 충족할 경우 VIP로 선정된다.

국내 대표 은행 VIP 조건은 2018년 기준 우리 은행은행 7천 점, 하나은행과 국민은행 1만 점, 농협은행 1만 5천 점이다. 이 점수는 3개월 입출식 통장 평균 잔액이 각각 7천만 원, 1억 원, 1억 5천만 원 이상이면 충족되며, 일반 예금으로 시도할 경우 3억 5천만 원~7억 5천만 원 이상의 잔액이 필요하다. 국민 은행의 경우 점수 외에도 총자산 3천만 원 이상이어야 하는 조건이 하나 더 존재한다.

kyeonggi

최근에는 VIP도 등급별로 구분하여 최상위 고객 등급을 신설하여 혜택의 차별화를 확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 은행에서는 금융 자산 10억 원 이상 고객들만 가입할 수 있는 TC 프리미엄 PB 센터를, 국민은행은 스타 PB 은행을, 하나은행은 30억 원 이상 자산가들만 가입 가능한 클럽 원을, 신한은행은 50억 원 이상의 자산가만 가입할 수 있는 PWM 프리빌리지를 운영하고 있다.

mk

모든 은행에서는 이렇듯 선정된 VIP들에게 기본적으로 전담 프라이빗 뱅커를 배정하여 이들을 위한 맞춤형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런 서비스를 ‘Private Banking’이라 하며, 이것이 일명 PB 서비스이다. VIP 고객들은 PB 룸 또는 VIP 룸에서 모든 은행 업무를 모두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재산 관리에 대한 상담을 진행할 수도 있다.

hanuribiz

은행에서는 자산의 효율적인 운용에 대한 것뿐 아니라 세무, 법률까지 자산 관리에 대한 전범위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명동, 서초, 여의도, 대치동과 같은 주요 지점에는 VVIP 고객들만을 위한 PB 전용 영업점도 개설하기도 하는 등 그들의 편의를 위한 다수의 노력을 한다. 이외에도 VIP들에게는 예·적금 및 대출에 있어 우대 금리를 제공하는 등 각종 금융적 혜택이 지원된다.

mk

군인이나 대학생 수백 명보다 VIP 고객 한 명이 운영에 있어 더 효과적인 도움이 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렇기에 은행에게 있어 그들은 놓칠 수 없는 고객이다 보니 VIP 고객 유치 경쟁은 점차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각 은행별로 제공하는 차별적 서비스들이 다방면적으로 생성되는 추세이다.

mk

씨티은행 청담동 PB 센터는 다수의 미술 작품, 고급 소파, 음료수 등을 비치한 고급 인테리어를 통해 고객들이 편안히 휴식하고 상담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하나은행은 2030세대의 젊은 자산가들을 위해 서울 삼성동 복합 문화 공간 플레이스 원에 클럽원 센터를 설립해 놀이공간도 제공하고 있다. 이곳에는 복합금융센터뿐만 아니라 영화·음악 감상실과 도서관, 소모임 및 파티를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한다.

JTBC 스카이캐슬

우리 은행, 신한 은행 등 다수 은행에서는 프리미엄급 우수 고객을 대상으로 대학 임시 설명회를 개최하기도 한다. 신한은행의 경우 2018년 국내 최고 입시 전문가 이영덕 대성학원 학력 개발 연구소 소장의 초청 강연을 진행하였다. SC 제일은행에서는 제공하는 국내외 리더십 프로그램은 2019년까지 무려 800명 이상이 참여하였으며, 40쌍 이상의 부부가 탄생한 하나은행의 우수 고객 자녀 소개팅도 인기 서비스 중 하나이다. 국민은행에서도 엄선된 1000명의 고객들만을 위한 ‘정경화&조성진’ 콘서트를 개최하는 등 고객들의 전반적인 관심사에 대한 혜택을 끊임없이 제공하고 있다.

joongang

최근에는 잠재적 고객 유치를 위해 VIP 선정 기준을 낮추거나 준 VIP 등급을 만드는 추세이다. IBK 기업은행은 무려 40만 명을 신규 VIP로 포함해 더 많은 혜택과 전문적인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외의 다수 은행들에서도 준 VIP들을 위한 BP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으니, 자산 관리에 관심이 있다면 주거래 은행을 정해 선정 조건을 파악한 후 이용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