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아, 속았다” 차 에어컨 바람 최대, 18도. 연비 확 떨어지나 봤더니 역대급 결과

조회수  

여름 무더위에 눅눅한 장마철엔 에어컨이 필수다. 집 뿐만 아니라 운전할 때도 반드시 필요한게 에어컨이다. 대부분 시원하고 쾌적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풍량을 높이고 온도를 낮추고 싶어하지만, 연비 걱정에 좀 덥더라도 약하게 트는 운전자들이 생각보다 많다. 특히 요즘처럼 고유가 시대엔 더더욱 그렇다.

그런데 실제로 연비 하락에 이런 요소들이 영향을 끼치는지 아는 사람은 드물다. 풍문으로 “그렇다더라” 수준의 지식만 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에어컨 풍량과 온도가 실제로 연비를 떨어트리는지 알아보자.

바람이 강해야
빨리 시원해질텐데…

선풍기를 강하게틀면 그만큼 전력소모가 높아진다. 가정용 에어컨도 마찬가지다. 상식적으로 접근해보면 자동차 역시 바람을 만들어내는건 팬이 담당하기 때문에 에너지 모소가 커질 것으로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카글 – 무단사용 절대금지

풍량을 높이면 분명 전력소모는 늘어난다. 하지만 연비엔 별반 차이가 없다. 차량용 에어컨에서 가장 에너지를 소모하는건 냉각용 컴프레서다. 이게 작동해야 냉매가 돌면서 주변 온도를 떨어트린다. 그리고 여기에 바람을 불어넣어 찬바람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카글 – 무단사용 절대금지

여기서 컴프레서는 엔진 동력 자체를 이용하고 팬은 엔진 발전으로 생성된 전기를 사용한다. 미국 에너지부 연구자료에 따르면, 에어컨을 켜면 최대 25% 정도 연비가 낮아진다고 한다. 에어컨의 핵심 부품인 컴프레서가 엔진의 힘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동력 손실이 발생한다는 의미다. 반면 팬은 연료 소모로 발생된 전력만 사용하기 때문에 풍량을 1단~최대로 놓고써도 아무렇지 않다.

팬쉽게 말해 주행 중인 자동차는 ‘움직이는 발전기’다. 실시간으로 생산되는 전력이 있기 때문에 풍량을 높여도 차량용 배터리에 걸리는 부하가 약간 높아질 뿐 연비를 확 떨어트리지는 않는다.

에어컨 온도 낮추면
연비도 떨어질까?

집에서 사용하는 에어컨은 온도를 내리면 실외기가 더 돌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높아질 수 밖에 없다. 자가 발전을 하는 자동차와 달리 그저 전력을 끌어다 사용하기 때문에 누진세 공포에 시달릴 수 밖에 없다.

ⓒ카글 – 무단사용 절대금지

자동차에 들어가는 냉각 시스템은 일반 에어컨과 다르다. 냉각을 위한 컴프레서는 일정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냉각에 강약이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설정온도에 따라 엔진에서 나오는 열을 섞어 온도를 조절한다. 이런 이유로 설정온도에 따라 연비가 크게 달라지거나 하지 않는다.

에어컨 온도
더 시원하게 못할까?

ⓒ카글 – 무단사용 절대금지

요즘 기술을 고려하면 18도보다 더 시원한 차량용 에어컨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그런 차를 보기가 어렵다. 이런 문제엔 과학적인 이유가 있다. 미국 냉동 관련 학회 자료를 보면, 사람의 건강과 쾌적함을 고려했을 땐 16도 미만의 온도는 오히려 안좋다고 보고 있다. 두통은 물론이고 저체온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카글 – 무단사용 절대금지

특히 더 낮은 온도를 만들기 위해 그만큼 에어컨 장치의 가격이 높아지기 마련인데, 냉동 탑차가 아닌이상 굳이 넣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사람은 21~27도 사이가 쾌적함을 느끼기에 좋은 온도 구간이다. 이외엔 너무 덥거나 너무 춥다고 느껴, 오히려 안전사고 위험이 존재한다. 이런 이유로 제조사들은 특정 온도 밑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에어컨 관리
제대로 하고
건강 챙기자

에어컨과 관련해 한 가지 당부하고 싶은 내용이 있다. 평소에 에어컨 필터를 관리해 탑승객 건강을 지켰으면 한다.

여름에 에어컨이 작동하면 찬 공기와 더운 공기가 만나, 물방울이 맺히는데 이걸 그대로 방치하면 세균과 곰팡이가 자라게 된다. 이를 그대로 두면 점점 불어나 심각한 악취와 균이 실내로 유입된다. 이 경우 고열, 기침, 폐렴이 걸릴 수 있어 호흡기가 약한 경우 더욱 치명적이다.

이럴 땐 에어컨 필터만 제때 교환해줘도 웬만한 문제는 해결가능하다. 이 필터는 외부 혹은 내부의 공기의 각종 세균 및 먼지를 걸러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에어컨 필터를 오랫동안 교환하지 않으면, 에어컨 내부 청소를 해도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꾸준한 관심을 가지자.

특히 차 주차 후 시동을 끄기 전 3~5분 동안 송풍모드로 두고 내부 물기를 말리는 과정을 거치면 보다 생물막 같은 세균 번식지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며, 요즘 출시된 차엔 애프터 블로우 기능이 있어 보다 편리하게 에어컨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cargle@viewus.com

댓글0

300

댓글0

[공감칼럼] 랭킹 뉴스

  •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 "성능은 포르쉐 압도" 진짜로 출고 시작, 7천 중반 '전기차'의 정체
  • "엄청 의외네?" 김민재 선수가 타는 미국산 SUV 정체
  • "트랙스도 좋긴 한데..." 한국에서 만들지만 우리는 못 사는 '이 차'의 정체
  • "예전이 낫네" 편하라고 만들었지만, 의외로 불안한 '첨단 기능'

최신 뉴스

  • 현대차그룹
    "2700억 규모" 현대차그룹, 미국에서 부품 하나 옵션으로 했다가 맞이한 최후
  • "나도 한대 뽑고 싶네" 아무도 몰랐던 미국산 '이 차'의 대기록
  •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 포니 쿠페
    "그 말 진짜였네" 현대차 포니 쿠페 콘셉트, 복원 거쳐 실물로 이탈리아에 등장
  •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 "스팅어는 단종인데" 제네시스 G70, 엔진과 디자인 바뀐 부분 변경 출시

지금 뜨는 뉴스

[공감칼럼] 랭킹 뉴스

  •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 "성능은 포르쉐 압도" 진짜로 출고 시작, 7천 중반 '전기차'의 정체
  • "엄청 의외네?" 김민재 선수가 타는 미국산 SUV 정체
  • "트랙스도 좋긴 한데..." 한국에서 만들지만 우리는 못 사는 '이 차'의 정체
  • "예전이 낫네" 편하라고 만들었지만, 의외로 불안한 '첨단 기능'
   

함께 볼만한 뉴스

  • 1
    “2700억 규모” 현대차그룹, 미국에서 부품 하나 옵션으로 했다가 맞이한 최후

    카글

  • 2
    “나도 한대 뽑고 싶네” 아무도 몰랐던 미국산 ‘이 차’의 대기록

    카글

  • 3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카글

  • 4
    “그 말 진짜였네” 현대차 포니 쿠페 콘셉트, 복원 거쳐 실물로 이탈리아에 등장

    카글

  • 5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카글

금주BEST인기글

  • “2700억 규모” 현대차그룹, 미국에서 부품 하나 옵션으로 했다가 맞이한 최후
  • “나도 한대 뽑고 싶네” 아무도 몰랐던 미국산 ‘이 차’의 대기록
  •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 “그 말 진짜였네” 현대차 포니 쿠페 콘셉트, 복원 거쳐 실물로 이탈리아에 등장
  •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 “스팅어는 단종인데” 제네시스 G70, 엔진과 디자인 바뀐 부분 변경 출시
  • “성능은 포르쉐 압도” 진짜로 출고 시작, 7천 중반 ‘전기차’의 정체
  • “엄청 의외네?” 김민재 선수가 타는 미국산 SUV 정체
  • “작년에 나왔는데 또?” 재규어 한국 철수설, 대체 얼마나 안 팔렸길래 그럴까?
  • “현대차 포함” 미국에서 발생한 ‘6700만 대’ 대규모 리콜, 대체 원인은 무엇?
  • “트랙스도 좋긴 한데…” 한국에서 만들지만 우리는 못 사는 ‘이 차’의 정체
  • “사실은 말이죠…” 지난주 핫이슈였던 ‘N 비전 74’, 현대차 깜짝 놀랄 소식 공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