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아무도 몰랐던, 옛날 차에만 있던 ‘이 버튼’의 정체 (이게 진짜 감성마력)

조회수  

요즘 운전자들은 모르는 
이 버튼, 정체가 뭘까?

오래 전 출시된 차량 일부에는 기어레버에 이상한 버튼이 있었다. 이에 대해 많은 운전자들이 “부스터다.”, “기어 고정버튼이다.”며 그럴싸한 이야기를 하곤 했다. 사실 이 버튼의 정체는 <O/D OFF>인데, 오버 드라이브 오프 (Over Drive Off)의 약자다.

여기서 오버드라이브(Over drive)란, 자동차에 적용되어있는 자동증속장치를 의미한다. 고속도로 같은 곳에서 고속주행을 하려면, 엔진이 그만큼 강한 동력을 만들어내야 한다. 이 때 동력이 생성되는 만큼 연료 역시 많이 소모된다. 그리고 소음이 점점 커진다. 악셀을 밟아보면 바로 알 수 있는 상식이다.

ⓒ카글 – 무단사용 절대금지

그렇다면 고속 주행시 정숙성과 연비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차량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엔진 회전 수를 낮추고 회전축 속도가 엔진 회전 수 보다 빠른 상황을 만들면 된다고 한다.

이를 위해 가장 높은 단수(톱기어)보다 추진축이 빠른 회전 속력을 낼 수 있게 만드는 장치(증속용 부변속기)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오버드라이브다. 오버드라이브는 모든 차량에 기본 적용되어 있고 항시 ‘O/D ON’상태이기 때문에 무리 없이 고속주행을 할 수 있다. 

이는 자전거를 탈 때 비슷한 느낌을 낼 수 있는데, 빠르게 달리고 있을 때 자전거에서 천천히 페달을 돌려도 속도를 유지하는 것과 비슷한 이치다.

<O/D OFF> 버튼은
언제 사용하는 기능일까?

그렇다면 <O/D OFF> 버튼을 누르면 어떻게 될까? 이걸 누르면 오버드라이브(O/D)가 해제되면서 계기판에 O/D OFF라는 표시가 주황 불 또는 노란 불로 들어온다. 그리고 고속주행에 필요한 최고단수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만약 4단이 최고단수라면 기능 OFF 이후 3단으로 제한이 걸린다. 대신 단수가 내려가는 만큼 더 큰 힘을 낼 수 있다. 또, 그만큼 RPM이 증가하는데 평균적으로 800~1,000RPM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제 원리는 알았다. 그럼 이 기능은 언제 사용하는걸까? 결과적으로 단수를 낮춰 힘을 얻는 킥다운의 개념과 비슷한데, 언덕을 오르거나 순간적으로 빠른 가속이 필요할 때 이 버튼을 누르면 된다. 그밖에 기어가 내려가는 특징을 이용해 엔진브레이크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외 상황에선 특별히 사용할 일이 없다. 오히려 굉음과 연비 하락의 결과만 낳을 뿐이다. 


요즘 차량에는 <O/D OFF> 기능이 없다. 웬만한 기능이 전자화 되면서 변속을 최적의 타이밍에 자동 변속이 가능하며, 킥다운을 시도하면 알아서 비슷한 효과를 내기 때문에 자연스레 사라졌다. 또한 5단 이상의 다단 변속기로 넘어가며 사라졌다는 이야기도 있다.

<O/D OFF>에 대한 
네티즌들의 반응

이 기능을 접한 네티즌들은 여러 자동차 커뮤니티에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동변속기에 반자동 모드를 넣으면서 자연스레 사라졌다는 기술적인 의견이 주로 확인되며, 98년식 엑센트, 05년식 아반떼 XD, 01년식 SM5 520 등 15~20여년 전 모델에도 달려있어 자주 활용했다는 경험담을 볼 수 있었다.

한편 운전하다 무릎으로 이 버튼을 눌러 주행 도중 깜짝 놀라는 일이 있었다는 반응도 여럿 보였다. 

cargle@viewus.com

댓글0

300

댓글0

[공감칼럼] 랭킹 뉴스

  •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 "성능은 포르쉐 압도" 진짜로 출고 시작, 7천 중반 '전기차'의 정체
  • "엄청 의외네?" 김민재 선수가 타는 미국산 SUV 정체
  • "트랙스도 좋긴 한데..." 한국에서 만들지만 우리는 못 사는 '이 차'의 정체
  • "예전이 낫네" 편하라고 만들었지만, 의외로 불안한 '첨단 기능'

최신 뉴스

  • 현대차그룹
    "2700억 규모" 현대차그룹, 미국에서 부품 하나 옵션으로 했다가 맞이한 최후
  • "나도 한대 뽑고 싶네" 아무도 몰랐던 미국산 '이 차'의 대기록
  •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 포니 쿠페
    "그 말 진짜였네" 현대차 포니 쿠페 콘셉트, 복원 거쳐 실물로 이탈리아에 등장
  •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 "스팅어는 단종인데" 제네시스 G70, 엔진과 디자인 바뀐 부분 변경 출시

지금 뜨는 뉴스

[공감칼럼] 랭킹 뉴스

  •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 "성능은 포르쉐 압도" 진짜로 출고 시작, 7천 중반 '전기차'의 정체
  • "엄청 의외네?" 김민재 선수가 타는 미국산 SUV 정체
  • "트랙스도 좋긴 한데..." 한국에서 만들지만 우리는 못 사는 '이 차'의 정체
  • "예전이 낫네" 편하라고 만들었지만, 의외로 불안한 '첨단 기능'
   

함께 볼만한 뉴스

  • 1
    “2700억 규모” 현대차그룹, 미국에서 부품 하나 옵션으로 했다가 맞이한 최후

    카글

  • 2
    “나도 한대 뽑고 싶네” 아무도 몰랐던 미국산 ‘이 차’의 대기록

    카글

  • 3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카글

  • 4
    “그 말 진짜였네” 현대차 포니 쿠페 콘셉트, 복원 거쳐 실물로 이탈리아에 등장

    카글

  • 5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카글

금주BEST인기글

  • “2700억 규모” 현대차그룹, 미국에서 부품 하나 옵션으로 했다가 맞이한 최후
  • “나도 한대 뽑고 싶네” 아무도 몰랐던 미국산 ‘이 차’의 대기록
  •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 “그 말 진짜였네” 현대차 포니 쿠페 콘셉트, 복원 거쳐 실물로 이탈리아에 등장
  •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 “스팅어는 단종인데” 제네시스 G70, 엔진과 디자인 바뀐 부분 변경 출시
  • “성능은 포르쉐 압도” 진짜로 출고 시작, 7천 중반 ‘전기차’의 정체
  • “엄청 의외네?” 김민재 선수가 타는 미국산 SUV 정체
  • “작년에 나왔는데 또?” 재규어 한국 철수설, 대체 얼마나 안 팔렸길래 그럴까?
  • “현대차 포함” 미국에서 발생한 ‘6700만 대’ 대규모 리콜, 대체 원인은 무엇?
  • “트랙스도 좋긴 한데…” 한국에서 만들지만 우리는 못 사는 ‘이 차’의 정체
  • “사실은 말이죠…” 지난주 핫이슈였던 ‘N 비전 74’, 현대차 깜짝 놀랄 소식 공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