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나오는 전기차 보면 거의 대부분 후륜구동이 기본이다. 당장 신차 제원표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동안 후륜구동차는 비싼차나 화물차에서만 볼 수 있던 것으로 생각할텐데, 전기차는 후륜구동부터 시작한다. 과연 어떤 이유로 후륜구동이 적용된것일까?
후륜 구동의 장점
전기차에 꼭 필요한 이유
내연기관차의 후륜은 보통 앞에 엔진이 있고, 동력을 뒤로 보내는 뒷바퀴 굴림 식이다. 앞에서 조향을 하고 뒷바퀴에서 힘을 받아 밀어주는 구조기 때문에 전륜차보다 무게 균형을 맞추기 좋고 코너를 돌거나 고속주행을 할 때 유리하다.
특히 자동차는 가속을 하게 되면 관성 때문에 뒤로 무게가 실리게 되는데, 이때 뒷바퀴에 강한 힘이 걸려도 접지력이 좋아 빠른 가속이 가능하다. 대신 전륜차보다 동력을 전달하는 부품이 더 들어가기 때문에 뒷좌석과 트렁크 공간이 좁을 수 있다.
그런데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와 많이 다르다. 전기차 구조를 보면 차 바닥에 배터리가 장착되고, 전기 모터가 후륜 방향에 달려 있다. 무거운 배터리가 가운데에 자리잡고 있어, 무게중심이 아래로 더 쏠린다. 그래서 주행 시 안정감이 우수하다.
후륜 모터의 경우 다른 후륜 구동차들 처럼 접지력이 좋아, 바퀴에 전달된 출력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모터는 변속 없이도 출발할 때부터 최대 토크를 바로 낼 수 있기 때문에 내연기관차에서 기대하기 어려웠던 성능을 내기 유리하다.
물론, 소형 사이즈 전기차는 실내공간 확보를 위해 전륜 구동을 채택하기도 한다. 다만 앞 부분 접지력이 비교적 약해서, 바퀴가 헛도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한편 모터와 감속기등 동력계 부품들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후륜으로 넣어도 트렁크나 실내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는다. 오히려 더 넓은 공간 확보가 가능하다.
미래엔 사륜이 기본이 될 전기차
향후 전기차는 후륜대신 사륜이 기본이 될 가능성이 높다. 바퀴 안에 모터가 들어가 있는 인휠모터 시스템이. 대중화 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인 휠 모터는 전기차의 동력계 부품들 보다 더 작다. 하지만 네 바퀴 모두 순간적으로 큰 힘을 내기 때문에 지금보다 더 효율적이고 빠른 차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동력계가 차지하는 공간이 거의 없기 때문에 더 넓은 실내와 배터리 적재공간 효율도 끌어올리기 좋다. 다만 내구성 때문에 아직 양산차로 적용된 사례가 많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