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중 화물차 옆이 불안안 이유
주행 중 옆 차량들이 빠르게 지나갈 때 차가 흔들려 놀란 경험이 누구나 한 번쯤있다. 특히 큰 버스나 화물차가 지나갈 때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하다. 분명 핸들을 똑바로 잡고 있는데도 차가 좌우로 흔들려 혹시 사고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을 하기도 한다.
실제 주변 차량으로 인해 흔들리는 상황이 심한 경우, 운전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균형을 잃고 제어불능 상태에 빠져, 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의외로 자주 겪게되는
공기터널 현상
자동차는 앞으로 나아가면서 공기를 가른다. 이런 이유로 속력이 빠를수록 차량의 뒷부분은 공기가 희박해진다. 이때 주변 공기들이 기압이 낮아진 차의 뒷부분으로 빨려 들어가게 되는데, 이를 ‘공기 터널’ 현상이라 부른다.
공기 터널 현상은 차의 뒷부분이 직각 형태인 대형 버스나 화물차에서 더 쉽게 발생하며, 주행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그 현상이 강하게 발생한다. 이로 인해 우리가 고속도로에서 주행 중에 대형 버스나 화물차 옆을 지날 때, 차가 휘청이는 아찔한 경험을 하게 된다.
참고로 모터스포츠에선 오히려 이 현상을 활용하는데, 경주용 차량들의 경우 앞 차와 바짝 붙어 달리다가 쉽게 추월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200km/h를 넘나드는 경주용 차량들의 뒷부분은 공기 압력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슬립스트림’이 매우 강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슬립스트림을 이용하면 뒤따라오는 경주용 차량들의 공기 저항이 줄어들기 때문에 주행에 유리한 상태가 되는데, 슬립스트림 현상이 바로 공기 터널 현상이다. 물론 일반 도로에서는 공기 터널을 활용한 효과적인 주행은 어려울 것이다. 오히려 주행 안정성에 마이너스가 되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불안정한 차량은
어떻게 안정시키나?
주행 중 대형 버스나 화물차 옆을 지나며 공기 터널 현상을 겪을 때, 당황한 나머지 급가속으로 회피하려 하거나 급하게 방향을 틀 경우, 전복되거나 옆 차로의 차와 충돌할 수도 있다. 때문에 공기 터널 현상으로 차가 휘청이기 시작하면 차가 더는 흔들리지 않도록 운전대를 양손으로 단단히 붙들어야 한다. 또한 주변 대형 차를 벗어날 수 있도록 천천히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속도를 줄여야 한다.
급격하게 운전대를 조작하거나 급하게 속력을 줄일 경우 접지력을 잃어, 그대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일반도로에서도 공기터널?
공기 터널 현상은 고속도로와 같이 빨리 달리는 구간에서 자주 발생하지만, 속도가 크게 높지 않은 일반 도로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즉, 언제나 안전운전에 신경써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자전거를 타고 통행량이 많은 큰 도로 옆을 달릴 경우 매우 위험하다. 저속이라도 자전거는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형 버스나 화물차는 큰 차체로 인해 빠르게 달리지 않는 일반 도로에서도 공기 터널 현상이 쉽게 발생합한. 이런 이유로 자전거를 타고 옆을 지날때 매우 주의해야 한다. 단순한 현상이지만 찰나의 부주의로 큰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늘 안전에 유의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