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설 연휴처럼 긴 연휴가 있으면, 전기차 운전자에게 걱정이 되는게 하나있다. 바로 충전이다. 시내에서 다닌다면 큰 문제가 안되겠지만, 장거리 이동이 있다면 충전에 대한 부담이 생긴다. 급하게 충전기가 필요하면 어떻게 해야되고, 낮선 곳에서 충전시 주의해야 할 점을 무엇이 있을까?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자.
① 전기차 대비 부족한 충전기 수
국내 전기차 등록 대수는 지난 2014년 2900대에서 지난해 10월 기준 34만 7000대로 늘어났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전기차 충전기는 13만 3000여대에 불과하다. 조금 더 계산해보면 충전기 1개당 전기차 2.3대를 감당해야 하는 셈이다.
그러나 이 계산은 현실반영이 되지 않은 수치다. 현실적으로는 충전소마다 충전기 대수가 일정치 않은 것은 물론 한 곳에 1~2대 밖에 없는 충전기가 고장 난 곳도 있다. 대기자가 많으면 충전도 못 하고 돌아가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때문에 전기차 운전자라면 목적지까지 미리 거리를 계산해 사전에 준비하는 수밖에 없다.
② 나도 모르게 전기를 다 썼다면?
스마트폰이나 PC(태블릿 포함)를 활용해 전기차 충전소를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될까? 한국전력 전기차중전서비스(켑코플러그)는 홈페이지에서 전기차 충전소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한전이 설치한 충전소외에도 현대차, 기아, 에쓰오일, GS칼텍스 등 민영 충전소 정보도 함께 찾아볼 수 있다.
전국에 있는 충전소에 대한 목록은 물론 특정 지역에 한정된 충전소 정보도 받아볼 수 있다. 각 충전기 사용 가능 여부는 물론 현재 가동상황, 고장, 이용 가능한 플러그의 종류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서비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으로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건물이나 지하철역 등을 바탕으로 검색하면 도움이 된다. 만약 도로 위에서 전기차가 멈췄을 경우엔 자동차 제조회사나 보험사에서 운영하는 찾아가는 충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회사별로 차이가 있긴하지만, 통상적으로 이 서비스는 1회 이용 시 약 40~50km를 주행할 수 있는 충전량(7kWh, 충전 소요 시간 약 15분)을 제공해 준다. 이 서비스는 차량 제조사 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어 출발 전 미리 다운로드(내려받기)해두면 좋다.
③ 유명무실한 충전 관련 법
가장 찾기 쉬운 충전소는 대형마트 또는 지방자치단체 행정조직의 건물이다. 일정 수준 이상의 규모를 갖춘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은 1~3대의 급속 충전기를 운영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각 지자체의 시청과 구청, 주민센터에도 높은 확률로 충전기 보급이 이뤄져 있다.
일정 시간 이상 충전소를 점유하면 충전 방해 행위로 분류돼 운전자 주의도 필요하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전기차 급속충전구역에서 1시간 이상 주차하거나 완속충전구역에서 14시간 이상 주차하는 행위는 충전방해 행위로 간주돼 과태료 10만원이 부과된다.
그러나 현재로선 전기차 운전자들 사이에서 준법의식을 기대하는게 최선이다. 이 유는 지자체별로 유예기간을 두고 있는 데다 실제 단속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전기차인데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주차만 해두는 것도 처벌이 쉽지 않다는 게 정부 측 입장이다.
④ 눈에 보이는 충전기, 막쓰면 벌금 폭탄?
설 연휴 부모님 집이나 친지 집에 방문해 해당 아파트 충전시설을 이용할 때도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전자태그가 부착돼 요금이 부과되는 이동형 충전기와 달리, 콘센트 비상용 보조 충전기를 이용하면 전기요금은 공동관리비로 처리된다. 따라서 공용 전기를 몰래 사용하는 것은 불법이다.
아파트 단지 주차장 등에서의 ‘도전(盜電) 행위’는 형법에 따른 절도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판례상 전기는 관리할 수 있는 동력으로서 형법 제346조에 의거 재물로 간주된다. 때문에 이를 절취하면 동법 제329조에 따라 6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친지에 방문해 과금형 충전 시설을 이용하는 것은 법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문제는 없다. 다만 해당 아파트입주민회에서 충전시 아파트입주자회에서 발급한 전용 카드를 태그하도록 하는 경우가 있어 방문객 전기차의 충전을 제한하는 경우도 있다.
■ 전기차 충전난, 해결 방법은 무엇?
설 연휴를 앞두고 한 커뮤니티에는 전기차를 구매한지 한 달 밖에 안 된 운전자가 충전 관련해 걱정하는 글이 올라왔다. 전기차 충전난 해결 관련해서는 정부와 자자체에서 예산을 더 배정해 충전기를 더 만들면 되지 않냐는 의견이 많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늘어나는 전기차 수 만큼 충전기 보급량이 늘어나기란 어려운 상황. 결국 충전기가 더 늘어나기 전까지는 전기차 운전자가 부지런 할 수 밖에 없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