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현대모비스, CES 2023에서 PBV의 새로운 기준 제시
현대모비스가 CES 2023에서 PBV(Purpose Built Vehicle,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이번 CES에서 공개한 엠비전 TO와 HI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갖출 수 있는 PBV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두 컨셉카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 이상의 혁신으로 느낄 수 있도록 준비한 모델이다. 외관 디자인이나 인테리어 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성, 새로운 플랫폼, 첨단 기술등 여러 가지가 혼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현대차와 기아의 신차가 이런 모습으로 똑같이 나오지는 않겠지만, 샘플로 선보인 기술들이 보편화 되어 지금과 사뭇 다른 분위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② 엠비전 TO, 도심에서의 자유로운 이동을 논하다
엠비전 TO는 도심에서의 자유로운 이동과 공유 서비스에 초점을 맞춘 PBV 컨셉카다. 이번에 도입된 통합 필러 모듈이라는 기술은 주행에 필요한 장치 대부분을 필러(차량의 루프와 연결된 지지대) 모듈에 담은 것으로, 실내 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자동차 필러는 차체를 지탱하는 구조물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런 필러를 다양한 기능을 담은 하나의 모듈로 다시 구성해, 차의 실내 공간을 극대화 하는데 성공했다. 이 모듈에는 e-코너 시스템을 비롯하여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 다양한 자율주행 센서와 커뮤니케이션 라이팅 등이 추가된다.
특히 e-코너 시스템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차의 구동, 제동, 조향, 서스펜션 시스템 등을 하나의 모듈로 통합한 차세대 기술이다. 바퀴 안쪽에 장착된 인휠모터가 바퀴를 굴리고, 바퀴 옆에 붙은 e-스티어링이 방향을 바꾸며, 감속은 e-브레이크가 담당한다. 기계적 연결을 없앤 덕분에 90°의 방향 전환도 가능해졌다. 대표적인 예시로 아이오닉 5의 크랩 주행모드가 있다. 이는 실제 양산차에도 충분히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적절한 예시가 된다. 즉, 엠비전 TO의 통합 필러 모듈은 차의 디자인과 기능성을 동시에 고민한 결과물인 것이다.
한편 엠비전 TO의 인테리어는 PBV 시대의 활용안을 보여준다. MR(Mixed Reality) 디스플레이는 실내에 정보를 표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는데, 감성적인 홀로그램으로 탑승자와 자동차의 교감을 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들어 탑승자가 선호하는 음악에 맞추어 홀로그램 DJ가 음악을 연출하거나, 탑승자의 취향에 맞는 빛과 색상으로 실내 분위기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③ 감성 충만한 인테리어, 이대로 나온다면?
현대모비스는 엠비전 HI라는 컨셉카도 공개했다. 이 차는 사용자 중심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개인적인 영역에 초점을 맞췄다. 실내 기능을 통합 제어하여 탑승객의 감성을 자극하며, 레저, 사무, 휴식 등의 활용을 고려한 공간구성을 갖췄다. 또한, 반투명 디스플레이와 다이나믹 사운드 시스템을 활용해 최적의 청취 환경과 증강현실을 제공하며,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PBV의 사용영역을 확장하기도 한다.
엠비전 HI는 원거리 조작 기술을 적용해 시선을 마우스처럼 활용하여 영화 감상 등의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인 캐빈 감지 기술을 활용해 승객의 상태를 감지해 색다른 에어백 기술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술은 기계, 전자, 센서, 소프트웨어, 반도체 등 모든 기술을 융합해 구현 가능한 것이다. 현대모비스는 이런 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챙기고 환경을 보호하는 동시에 새로운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더 편리하고 안전한 신차 기대할 수 있을까?
PBV 기술이 발전할 수록 좀 더 안전한 운전 환경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인공지능과 센서 등을 활용해 자율주행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사람의 운전 실수나 오작동을 줄이고, 더 안전한 운전 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PBV는 운전자의 개인적인 취향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만큼, 더 편리한 운전 환경을 제공할 지도 모른다. 요컨대, PBV가 보편화 된 세상은 운전자라는 개념이 사라진 자율주행의 시대가 될 것이다. 만약 여러분이 이런 상황에 놓여있다고 가정했을 때 그래도 운전대를 잡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가? 아니면 편하게 앉아서 쉬면서 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가?
븅신들 옛날에나온거 이제와서 빨아대는거보니 흉기 돈뿌려서 거렁뱅이 언론사들 짖어대라했나보잌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