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마일리지 카드를 사용하고 있는가? 국내의 많은 은행들이 앞다투어 마일리지 카드를 선보이고 있다. 그 혜택도 파격적이라 단연 많은 고객들이 주목하고 있는 카드이다. 특히 여행을 즐기는 고객들은 해당 카드를 사용함으로써 많은 마일리지를 쌓을 수 있다. 이 마일리지는 항공권이나 좌석 승급 등 다양한 혜택을 위해 사용 가능하다.
하지만 너무 많은 마일리지 카드들이 출시되면서 그것들 모두를 비교하기 쉽지 않다. 또한 비슷한 적립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슷할 것이라는 인식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나에게 맞는 마일리지 카드는 따로 있을 것이다. 어떤 카드를 사용해야 최대한의 혜택을 얻을 수 있을까.
우선, 좋은 카드의 기준부터 알아보자. 마일리지를 위한 카드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잘 적립이 되어야 한다. 마일리지 카드는 대부분 구매금액 당 일정한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만약 카드를 고르는 기준으로 마일리지가 얼마나 잘 쌓이는가라고 설정했다면, 1000원당 1.2마일리지 이상이 적립되는 카드를 고르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연회비는 얼마인지, 추가 혜택은 무엇인지, 기본 적립 외에 추가 적립은 얼마나 되는지 등을 살펴봐야 한다. 이 카드에 누적된 마일리지는 좌석 승급 서비스와 같은 항공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이득이다. 공항버스나 호텔 숙박권에도 사용할 수 있는데, 항공권에 사용하는 것보다 환산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용금액 대비 마일리지 적립률이 높은 대표적 카드를 살펴보도록 하자. 국민은행의 파인테크 카드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모두 지원한다. 대한항공을 선택하면 1500원 당 1.2 마일리지를, 아시아나는 1000원 당 1.2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다. 해외겸용으로 연회비 2만 5천 원 밖에 되지 않는 저렴한 수준이지만 빠르게 마일리지를 누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 지난달 카드 사용금액과 상관없이 적립된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대부분 전월 일정 금액 사용을 했어야만 내달부터 적립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국민 파인테크는 바로 적립이 가능하고, 한도 또한 없다. 무제한으로 적립할 수 있다.
국민카드보다는 연회비가 다소 비싼 신한카드 AIR 1.5이다. 만약 대한항공보다 아시아나항공을 선호한다면 이 카드를 사용할 것을 추천한다. 1000원당 1.5 마일리지가 적립되며 월 적립 한도 또한 없다. 전월 이용금액이 50만 원 이상 사용해야만 이용금액 적립이 가능하다.
해외겸용으로 이 카드를 사용하면 해외 더블 적립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해외에서 일시불로 카드를 사용하면 100원당 1.5마일리지가 추가로 적립된다. 즉 총 3마일리지가 적립된다는 것이다. 그 외의 부가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스카이 허브 라운지, 공항 발레파킹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저가항공사를 많이 이용하는 고객이라면 맞춤 카드가 어떨까. 저가항공사인 제주항공의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는 카드도 있다. IBK 기업은행과 제주항공이 함께 마일리지 카드를 출시했다. 저가항공사답게 카드의 연회비는 2만 2천 원의 부담 없는 가격이다. 또한 1천 원당 30마일리지의 파격적인 적립을 할 수 있다.
저가항공사 모두의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는 카드도 존재한다. 즉, 저가항공사 통합 항공 마일리지 카드이다. 유니마일이란 이름의 이 카드는 IBK, 우리은행, 농협 등에서 출시한다. 연회비는 2만 원으로 저렴한 가격에 이용 가능하며 1원에 1유니 마일을 적립할 수 있다.
카드 선택에 앞서, 무엇보다 자신의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만약 월평균 카드 사용금액이 적다면 연회비가 아까울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사용금액이 많은 만큼 마일리지를 많이 적립시킬 수 있고, 심지어는 전월 사용금액이 적립의 기준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자신의 카드 실적을 기준으로 적립을 예상하여 계산해볼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