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포드 블루 크루즈, 영국서 허가
포드가 영국에서 블루 크루즈 자율주행의 운행 허가를 받았다. 블루 크루즈는 영국 정부로부터 공식 승인을 받은 최초의 ‘핸즈 프리’ 시스템이다. 이로써 포드의 자율주행 시스템인 ‘블루 크루즈’를 탑재한 차량은 영국 고속도로에서 운전자가 핸들을 잡지 않은 상태에서도 운행이 가능하다. 다만 전방 도로를 주시해야 함에는 변함없다.
지난 13일(현지시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웨일즈 고속도로에서 포드의 자율주행시스템 ‘블루 크루즈’ 장착 차량 자율주행 운행을 허가했다. 보도에 따르면 위성항법장치(GPS)로 차량 위치를 파악해 지정된 고속도로에 있을 경우에만 운전대에서 손을 뗀 상태로 운행할 수 있다.
시스템을 활성화하면 차량은 최대 70mph(112km/h)의 속도로 주행하며, 정차상태에서 서다 가다를 반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차선 변경이나 앞지르기는 허용되지 않는다. 포드에 따르면 5개의 레이더를 사용하여 도로 상의 다른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감지하고 추적한다.
차량 외부의 전방 카메라가 차선 표시와 속도 표지를 감지하는 동안 시스템은 내부 계기판 아래에 위치한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운전자를 관찰한다. 운전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있더라도 눈동자와 머리 자세를 확인하여 운전자가 도로에 집중하고 있는지 계속해서 확인하는 것이다. 만약 운전자가 산만해 보인다면 경고 메시지와 소리 경고를 보여주고 차량을 감속한다. 운전자는 핸드폰을 사용하거나 도로에 집중하지 않는 것이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이 시스템은 머스탱 마하-E 전기차에만 적용돼 있고 한 달에 17.99파운드(약 2만9000원)의 구독료를 내야 사용할 수 있다.
② 자율주행 레벨3
한편 자동차 선진국인 독일과 미국에선 레벨3 수준 자율차 경쟁이 치열하다. 레벨3 자율주행 자동차는 일반적인 주행은 시스템이 맡고 위험 시에만 운전자가 개입하는 레벨이다. 즉, 조건부 자율주행으로서 특정 상황(고속도로) 주행 시 차량의 제어권과 운행 책임이 운전자에서 차량으로 넘어가는 단계이다.
업계에서는 레벨2 단계까지를 ‘운전자 보조’로 평가하고, 운전자 개입이 최소화되는 레벨3부터 5단계까지를 본격적인 ‘자율주행차’로 보고 있다. 업계에서는 올해 자율주행 시스템에 필수적인 프로세서 양산이 본격적으로 시작해 레벨3 자율주행이 크게 확산할 것으로 보고 있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지난해 플래그십 세단 S클래스와 전기차 EQS에 레벨3 자율주행에 가까운 ‘드라이브 파일럿(Drive Pilot)’ 시스템을 장착해 독일과 미국에서 승인받은 바 있다. 자율주행 선두주자인 테슬라는 풀 셀프 드라이빙(FSD)이라는 이름의 시스템이 레벨3 수준에 이르렀다고 평가받는다. 혼다와 볼보 또한 각각 레전드와 EX90에 50~60km 수준의 레벨3 기능을 탑재해 출시한 바 있다.
③ 기아 EV9에 들어간다
국내에선 기아가 올해 출시할 예정인 EV9 GT라인에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 시스템(HDP)이 탑재될 것으로 예상된다. HDP는 자율주행 ‘레벨3’에 해당하는 기술로, 고속도로와 자동차 전용도로 본선 주행 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운전대)을 잡지 않아도(Hands-Off) 앞 차와의 안전거리와 차로를 유지하며 최고 시속 80km의 속도로 주행하는 기술이다.
앞서 언급한 제조사들의 레벨3 기술은 모두 50~60km/h 선에서 속도 제한이 걸렸으나 현대차그룹의 HDP 기술은 제한속도가 80km/h까지 올라가 실질적인 자율주행 기술이라는 평가도 받는다.
현대차그룹은 HDP를 구현하기 위해 EV9에 2개의 라이다를 포함한 총 15개의 센서와 정밀지도, 통합 제어기 등을 장착해 기술 완성도를 높였다. 고속도로 자율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위험 상황에서 탑승자의 안전을 가장 먼저 고려해 대응할 수 있는 기능도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기아는 올해 하반기 ‘EV9‘에 ‘핸즈오프’가 가능한 ‘HDP‘를 탑재하는 것을 시작으로 2026년에는 일정 조건에서 전방 주시조차 필요 없는 ‘아이즈오프’가 가능한 ‘HDP2’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