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이건 좀 부담스럽네” 고급 휘발유 4배 가격, 페라리 오너마저 오열

조회수  

 전기차와 공존하는 내연기관

페라리EU는 2035년부터 내연기관 신차 판매 금지를 최종 확정하면서 예외 규정을 뒀다. 신규 승용차 및 승합차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전면 금지하되, e퓨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판매는 허용한 것이다. 유럽연합은 당초 2035년에 내연기관차의 완전 퇴출을 시도했지만, 자동차 산업을 보호하려는 독일·이탈리아·폴란드 등의 반대로 e퓨얼을 예외로 인정했다. 이에 따라 미래에 전기차는 e퓨얼 내연기관차와 공존하게 됐다.

e퓨얼은 전기 기반 연료(Electricity-based fuel)의 약자다. 공기 중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와 물을 전기 분해해 얻은 수소를 합성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 연료다. 이렇게 만들어진 연료는 정제 과정을 통해 가솔린, 경유, 난방유 등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다. 배출가스가 나오긴 하지만, 연료를 만드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있는 탄소를 소모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배출량을 ‘0’으로 본다. 따라서 탄소중립 연료로 인정받았다. 

페라리EU의 규정안에는 2035년 이후에도 e퓨얼을 사용하는 내연기관 자동차를 허용하되, 휘발유·경유 같은 기존 화석연료를 넣을 경우 작동이 중단되는 기술을 적용하거나, ​​다른 연료를 주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 특별 장치가 탑재돼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e퓨얼의 장단점

페라리e퓨얼은 주유소에서 자동차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내연기관차 플랫폼과 주유소 등 인프라를 그대로 쓰기 때문이다. 이 덕분에 전기차 인프라보다 투자비용이 훨씬 적게 든다. 삼성증권이 최근 발간한 ‘e퓨얼, 전기차 중장기 수요에 위협 요인’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가 전기차로 100% 전환했을 때 드는 인프라 투자비는 약 6조달러인 반면, e퓨얼로 100% 전환하면 필요 비용이 3000억~4000억달러에 불과하다. 전기차 전환 비용 대비 5%에 불과한 셈이다. 

페라리하지만 비싼 가격이 발목을 붙잡는다. e퓨얼은 생산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 연구에 따르면, 2030년 e퓨얼의 가격은 리터(ℓ)당 3~4유로(4,372~5,829원)로 휘발유 가격의 3~4배로 예상된다. 2050년은 돼야 규모의 경제로 0.8~1.9유로(1,165~2,769원)로 현재 휘발유 가격 수준으로 낮아질 전망이다. 

앞으로 수십년은 고급유보다 비싼 연료로 유통되는 셈이다. 이 때문에 e퓨얼은 전기차를 완전히 대체하기는 불가능하고, 고가 차량에만 한정적으로 쓰일 것이란 예상이 우세하다. 이런 흐름이라면 세계 승용차 시장은 일반적인 전기차 중심에다, 일부 고급 내연기관차로 나뉘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고급차 업체들의 지지

페라리특히 포르쉐와 람보르기니, 페라리와 같은 스포츠카 브랜드들이 e퓨얼을 적극 지지하고 있다. 전동화 차량은 무거운 배터리로 인해 차체 밸런스와 움직임에 한계가 많기 때문이다. 엔진을 장착해 기존 내연기관의 퍼포먼스를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포르쉐는 작년 4월 칠레의 e퓨얼 생산설비 개발 기업 HIF에 7500만달러를 투자하며 e퓨얼을 직접 생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올리버 블루메 포르쉐 CEO(최고경영자)는 e퓨얼과 전동화가 공존해야 한다며 “911은 가능한 한 엔진을 장착해 생산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페라리페라리 역시 e퓨얼을 지지한다. 베네데토 비냐 페리라 CEO는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2036년 이후에도 (유럽연합 내) 내연기관차 판매가 허용된다는 점에서 이번 결정은 희소식”이라며 “모든 신기술이 그렇듯, e퓨얼도 신기술인 만큼 가격이 저렴해지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e퓨얼의 친환경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연료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전기차의 5~6배에 이르기 때문이다. 전동화 과도기 시점에 주목받고 있는 e퓨얼은 과연 성공적으로 시장에 도입될 수 있을까?  

editor_2@viewus.com

댓글0

300

댓글0

[공감칼럼] 랭킹 뉴스

  •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 "성능은 포르쉐 압도" 진짜로 출고 시작, 7천 중반 '전기차'의 정체
  • "엄청 의외네?" 김민재 선수가 타는 미국산 SUV 정체
  • "트랙스도 좋긴 한데..." 한국에서 만들지만 우리는 못 사는 '이 차'의 정체
  • "예전이 낫네" 편하라고 만들었지만, 의외로 불안한 '첨단 기능'

최신 뉴스

  • 현대차그룹
    "2700억 규모" 현대차그룹, 미국에서 부품 하나 옵션으로 했다가 맞이한 최후
  • "나도 한대 뽑고 싶네" 아무도 몰랐던 미국산 '이 차'의 대기록
  •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 포니 쿠페
    "그 말 진짜였네" 현대차 포니 쿠페 콘셉트, 복원 거쳐 실물로 이탈리아에 등장
  •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 "스팅어는 단종인데" 제네시스 G70, 엔진과 디자인 바뀐 부분 변경 출시

지금 뜨는 뉴스

[공감칼럼] 랭킹 뉴스

  •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 "성능은 포르쉐 압도" 진짜로 출고 시작, 7천 중반 '전기차'의 정체
  • "엄청 의외네?" 김민재 선수가 타는 미국산 SUV 정체
  • "트랙스도 좋긴 한데..." 한국에서 만들지만 우리는 못 사는 '이 차'의 정체
  • "예전이 낫네" 편하라고 만들었지만, 의외로 불안한 '첨단 기능'
   

함께 볼만한 뉴스

  • 1
    “2700억 규모” 현대차그룹, 미국에서 부품 하나 옵션으로 했다가 맞이한 최후

    카글

  • 2
    “나도 한대 뽑고 싶네” 아무도 몰랐던 미국산 ‘이 차’의 대기록

    카글

  • 3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카글

  • 4
    “그 말 진짜였네” 현대차 포니 쿠페 콘셉트, 복원 거쳐 실물로 이탈리아에 등장

    카글

  • 5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카글

금주BEST인기글

  • “2700억 규모” 현대차그룹, 미국에서 부품 하나 옵션으로 했다가 맞이한 최후
  • “나도 한대 뽑고 싶네” 아무도 몰랐던 미국산 ‘이 차’의 대기록
  •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 “그 말 진짜였네” 현대차 포니 쿠페 콘셉트, 복원 거쳐 실물로 이탈리아에 등장
  •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 “스팅어는 단종인데” 제네시스 G70, 엔진과 디자인 바뀐 부분 변경 출시
  • “성능은 포르쉐 압도” 진짜로 출고 시작, 7천 중반 ‘전기차’의 정체
  • “엄청 의외네?” 김민재 선수가 타는 미국산 SUV 정체
  • “작년에 나왔는데 또?” 재규어 한국 철수설, 대체 얼마나 안 팔렸길래 그럴까?
  • “현대차 포함” 미국에서 발생한 ‘6700만 대’ 대규모 리콜, 대체 원인은 무엇?
  • “트랙스도 좋긴 한데…” 한국에서 만들지만 우리는 못 사는 ‘이 차’의 정체
  • “사실은 말이죠…” 지난주 핫이슈였던 ‘N 비전 74’, 현대차 깜짝 놀랄 소식 공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