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효과 좋네” 후면 번호판 단속 후 한 달, 충격적인 결과 나왔다

조회수  

① 후면 단속 카메라 도입 

번호판후면 번호판 무인 단속이 본격화되고 한 달이 지났다. 경찰은 지난 4월 1일부터 후면 무인 단속 시스템을 통해 교통 법규를 위반한 차량에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 

경찰이 도입한 후면 무인 교통단속 장비는 기계 전면부와 후면부에서 모두 교통 법규 위반 행위 단속이 가능해 교통 법규 위반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 평가받고 있다. 무엇보다 단속 카메라를 지난 직후 급가속을 하는 일명 ‘보복 가속’과 같은 얌체 운전자 단속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장비는 기존 인식률이 낮았던 카메라에서 해상도가 대폭 개선된 것이 특징이다. 일정 간격을 두고 2대가 설치되며 특정 구역에 들어온 차량의 후면 번호판을 촬영한 뒤 추적하며 속도·신호 위반을 분석한다. 속도위반의 경우 영상분석뿐 아니라 기존처럼 레이더를 활용해 한 번 더 분석하고 교차 검증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다. 

② 줄줄이 단속되는 중

번호판그렇다면 한 달이 지난 현재, 과연 얼마나 단속됐을까? 경기남부경찰청은 지난달 1일 단속을 시작한 후면 무인 교통단속 장비로 한 달 동안 모두 742건의 과속·신호위반을 잡아냈다고 밝혔다. 

단속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4월 한 달간 사륜차 601대(과속 329건, 신호위반 272건), 이륜차 141대(과속 118건, 신호위반 23건) 등이 단속에 걸렸으며 최다 단속 사례는 사륜차의 과속(전체의 44.3%)이었는데, 운전자들이 장비 전면부에서 속도를 줄였다가 이를 통과한 뒤 급가속해 적발된 경우가 많았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번호판후면 카메라가 있는 줄 모르고 평소처럼 ‘보복성 가속’을 실행했다가 단속에 줄줄이 걸린 것이다. 이러한 주행 형태는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스쿨존과 같은 도로에서 위험하다. 스쿨존의 제한속도가 시속 30km이기 때문에 운전자 입장에서는 크게 감속해야 하고 심적으로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카메라를 통과한 후에는 그만큼 가속을 더 빠르게 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경찰은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과 화성시 향남읍 상신리의 도로에 각 1대씩 경기남부 관내에 총 2대의 장비를 설치했다. 단 2대로 총 742건의 교통 법규 위반 차량을 단속한 것은 매우 큰 효과라고 볼 수 있다. 경찰은 올해 관내에 5대의 후면 무인 교통단속 장비를 추가로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③ 이륜차 단속도 가능해졌다 

번호판비록 한 달이 경과했을 뿐이지만 후면 단속 카메라의 효과가 검증된 듯하다. 시민들 또한 후면 단속카메라 도입을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분위기인데, 배달 오토바이 등 이륜차의 무인카메라 단속이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높은 지지를 얻고 있다.   

현재 도로 위 오토바이는 인식이 좋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일부 라이더들의 신호 위반과 과속, 정지선 위반, 인도 주행 등으로 인해 눈살이 찌푸려진 경험은 한 번쯤 있을 것이다. 그런데 유독 이륜차 중에서 이런 위반 사례가 많이 보이는 이유가 있다. 바로 전면 번호판이 부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즉 차량의 앞모습만 포착할 수 있는 기존 무인 단속 카메라로는 교통 법규를 위반하는 이륜차를 단속할 수 없는 것이다.

번호판일반적인 이륜차는 후면에만 번호판이 달려있다. 이륜차의 종류에 따라 전면부 디자인이 가지각색이기 때문에 통일된 규격의 번호판을 부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고, 만에 하나 보행자와 충돌할 경우 번호판으로 인해 피해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이륜차의 전면 번호판 도입을 시행하는 법안이 논의되고 있긴 하나, 본격적인 시행 시기는 특정할 수 없는 상황이다. 후면 번호판 단속이 더욱 절실한 이유다. 후면 단속 장비가 확대된다면 사고 피해도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무래도 도로의 효율적인 이동성이나 한정된 예산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늘릴 수는 없겠지만, 스쿨존이나 과속 빈도가 높은 곳, 사고 비율이 높은 도로를 중심으로 확대된다면 안전한 교통 문화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 보인다. 

editor_2@viewus.com

댓글2

300

댓글2

  • 데퍼

    믿었던 카메라에 번호찍혔지 4바퀴가

  • 이륜차 전면 번호판 즉각 시행해야 합니다

    밤이면 배달 오토바이 소리에 시끄러워 죽겠어요 경음기 소음검사도 합격한 오토바이면 배달 자격증을 줬으면 좋겠어요 전기 오토바이가 상용화 될려면 멀었는데 그때 까지 기다리지 말고 할 수 있는 것은 해주세요

[공감칼럼] 랭킹 뉴스

  •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 "성능은 포르쉐 압도" 진짜로 출고 시작, 7천 중반 '전기차'의 정체
  • "엄청 의외네?" 김민재 선수가 타는 미국산 SUV 정체
  • "트랙스도 좋긴 한데..." 한국에서 만들지만 우리는 못 사는 '이 차'의 정체
  • "예전이 낫네" 편하라고 만들었지만, 의외로 불안한 '첨단 기능'

최신 뉴스

  • 현대차그룹
    "2700억 규모" 현대차그룹, 미국에서 부품 하나 옵션으로 했다가 맞이한 최후
  • "나도 한대 뽑고 싶네" 아무도 몰랐던 미국산 '이 차'의 대기록
  •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 포니 쿠페
    "그 말 진짜였네" 현대차 포니 쿠페 콘셉트, 복원 거쳐 실물로 이탈리아에 등장
  •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 "스팅어는 단종인데" 제네시스 G70, 엔진과 디자인 바뀐 부분 변경 출시

지금 뜨는 뉴스

[공감칼럼] 랭킹 뉴스

  •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 "성능은 포르쉐 압도" 진짜로 출고 시작, 7천 중반 '전기차'의 정체
  • "엄청 의외네?" 김민재 선수가 타는 미국산 SUV 정체
  • "트랙스도 좋긴 한데..." 한국에서 만들지만 우리는 못 사는 '이 차'의 정체
  • "예전이 낫네" 편하라고 만들었지만, 의외로 불안한 '첨단 기능'
   

함께 볼만한 뉴스

  • 1
    “2700억 규모” 현대차그룹, 미국에서 부품 하나 옵션으로 했다가 맞이한 최후

    카글

  • 2
    “나도 한대 뽑고 싶네” 아무도 몰랐던 미국산 ‘이 차’의 대기록

    카글

  • 3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카글

  • 4
    “그 말 진짜였네” 현대차 포니 쿠페 콘셉트, 복원 거쳐 실물로 이탈리아에 등장

    카글

  • 5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카글

금주BEST인기글

  • “2700억 규모” 현대차그룹, 미국에서 부품 하나 옵션으로 했다가 맞이한 최후
  • “나도 한대 뽑고 싶네” 아무도 몰랐던 미국산 ‘이 차’의 대기록
  • “엔진 합격, 디자인은?” 출시 임박한 토요타 SUV, 팰리세이드 밀어낼까?
  • “그 말 진짜였네” 현대차 포니 쿠페 콘셉트, 복원 거쳐 실물로 이탈리아에 등장
  • “빨간불에 무면허로…” 10대 킥보드 운전, 참담한 결말  
  • “스팅어는 단종인데” 제네시스 G70, 엔진과 디자인 바뀐 부분 변경 출시
  • “성능은 포르쉐 압도” 진짜로 출고 시작, 7천 중반 ‘전기차’의 정체
  • “엄청 의외네?” 김민재 선수가 타는 미국산 SUV 정체
  • “작년에 나왔는데 또?” 재규어 한국 철수설, 대체 얼마나 안 팔렸길래 그럴까?
  • “현대차 포함” 미국에서 발생한 ‘6700만 대’ 대규모 리콜, 대체 원인은 무엇?
  • “트랙스도 좋긴 한데…” 한국에서 만들지만 우리는 못 사는 ‘이 차’의 정체
  • “사실은 말이죠…” 지난주 핫이슈였던 ‘N 비전 74’, 현대차 깜짝 놀랄 소식 공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