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판매된 수입차 중 4대 중 1대는 1억이 넘었다. 수입차니까 그럴 수도 있는 거 아니냐고 할 수 있다. 놀라운 일은 따로 있다. 바로 이 1억이 넘는 고가 수입차가 작년에 처음으로 연간 판매량이 무려 7만 대를 넘은 것이다. 대체 누가 이 비싼 차를 구매했으며, 어떤 브랜드가 ‘대박’을 외쳤을까? 오늘은 이와 관련해 주요 항목별로 간단히 살펴보려 한다. 

① 1억이 넘는다는데…, 얼마나 팔렸나?

지난 23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1~12월 1억 원이 넘는 수입차가 7만 1899대나 판매되었다. 월별로만 따져봐도 약 6000대가 팔린 셈이 된다. 이 실적은 전년 6만5148대 대비 10.3% 증가한 것이다. 

판매 비중으로는 전체 수입차 판매 대수(28만 3435대)에서 고가 수입차가  25.3%를 차지하면서전년 대비 1.8%포인트 상승했다. 참고로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19년 2만 8998대를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 1억 원 이상 수입차 판매량은 2020년 4만대에 이어 올해 7만대까지 넘어서면서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② 가장 큰 성장세 보인 ‘투톱’, 판매 실적은?

가격만 놓고 보면 1억이 넘는 수입차는 많다. 그런데 브랜드와 연관지어 생각하면 바로 떠오르는 인기 브랜드 두 개가 있다. 벤츠와 BMW다. 주요 수입차 브랜드로 꼽히는 두 곳은 국내 고가 수입차 시장에서 프리미엄 전략을 내세우며 고급 차종을 집중적으로 판매한 영향으로 크게 성장했다.

좀 더 쟈세히 살펴보면, 벤츠코리아의 지난해 1억 원 이상 차량 판매 대수는 전년 대비 9.5% 증가한 3만 1576대, BMW코리아는 전년 대비 20.1% 증가한 2만 2372대다. 벤츠는 트림에 따라 가격이 2억 원이 넘는 S클래스 판매량이 1만 3206대에 달했다. 

모델별 수입차 판매 대수로 보면 S클래스는 E클래스와 BMW 5시리즈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특히 BMW는 준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5를 7482대 판매하며 프리미엄 시장에서 벤츠 못지 않은 두각을 나타냈다.

③ 7만 대가 넘는 차, 누가 구입했을까?

7만대가 넘는 기록, 과연 1억이 넘는 고가에도 불구하고 이 부문 역시 개인 소비자가 늘어난 것일까? 1억원 이상 수입차를 구매 유형별로 보면 법인이 개인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법인 구매는 72.7%에 달하는 4만 7399대를 기록한 반면, 개인 구매는 2만 4500대를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이를두고 고급 세단의 경우 법인에서 리스 계약으로 구매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으로 보았다. 또한 이들은 앞에서 언급했던 벤츠와 BMW의 전략 역시 큰 영향을 끼쳤으며, 코로나19로 인한 보복 소비, 소득 양극화 등의 영향이라는 분석도 함께 했다. 

자동차와 관련된 기관의 한 관계자는 “소득 상위 계층이 고급차를 찾는 경우가 늘어났다”며 “전체적으로 차량 가격이 상승하면서 1억원이 넘는 모델이 많아진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현 정부의 ‘이 정책’, 과연 걸림돌이 될까?

현 정부는 법인차와 관련해 사적 유용을 막기 위한 취지로 전용 번호판을 도입할 계획이다. 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이르면 올해 6월부터 사용할 계획이다. 신규 적용될 법인차 번호판의 색상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법인차의 운행 대장을 보다 엄격하게 하는 방식으로 편법 운행을 막는 방식이 더 적합하다고 말한 가운데, 과연 실제로 시행되었을 때 정부의 취지대로 효과가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