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저가 배터리 쓰기 시작한 포드

포드는 유럽지역에서 머스탱 마하-E(Mustang Mach-E)의 배터리를 다른 종류로 변경할 예정이다. 기존 하이니켈 리튬이온 배터리 대신 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가 도입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리튬인산철 배터리 도입으로 고객들의 구매 허들이 낮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리튬인산철 배터리는 기존의 니켈-코발트-망간(NCM) 3원계 배터리보다 내구성이 높다. 또, 낮은 비용 및 급속 충전까지 가능해 전기차 가격을 내릴 수 있는 합리적인 대한으로 평가받고 있다. 포드는 향후 머스탱 뿐만 아니라 F-150 라이트닝 등 차세대 전기차에 폭넓게 적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②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쓸 수 밖에 없는 이유

포드의 이러한 결정은 배터리 가격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LFP 배터리로 전환함으로써, 니켈 및 코발트와 같은 값비싼 원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의도인 것이다.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의 원자재는 대부분 희토류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쌀 수 밖에 없다. 한편 포드는 이번 일을 계기로 전기차 생산을 확대하면서 배터리 공급망을 지역화하는 계획도 가지고 있다. 포드는 2023년 말까지 60만대의 전기차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6년 말까지 200만대를 생산할 예정이다. 포드는 앞으로 미국 미시건주에 신규 배터리 공장을 세우고 LFP 배터리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 공장은 2026년에 준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6조원 가까운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③ 리튬인산철 배터리, 장점은 분명하다

리튬인산철 배터리는 화학식으로 보면 LiFePO4으로 표기한다. 이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Li-ion Battery) 중 하나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리튬인산철 배터리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양극, 음극, 전해질로 이루어져 있다. 양극은 주로 그래핀 또는 기타 탄소계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음극은 리튬인산철 성분이 들어가 있다. 전해질은 전류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리튬인산철 배터리의 특징 중 가장 큰 장점은 안정성과 내구성이다. 안정적인 구조 덕분에 화재 위험으로 부터 비교적 자유롭다. 또한, 리튬이온 배터리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안정적인 기술로, 전기차 및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 외의 장점으로는 경제성과 환경 친화성이 있다. 리튬인산철 배터리는 코발트, 니켈 등의 비싼 원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인해 생산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하다. 다만 단점도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낮다. 요즘은 이러한 문제를 어느정도 해결해, 리튬이온 배터리의 성능으로도 긴 주행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여기에 셀 투 팩과 같이 배터리 탑재량을 늘리고 안전성까지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이 등장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 전기차 가격까지 생각해야 하는 상황

현재 세게 주요 전기차 제조사들은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폭넓게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포드뿐만 아니라 테슬라도 일부 모델에 한해 리튬인산철 배터리 탑재를 결정했다. 중국 내 주요 제조사인 BYD를 비롯해 일본의 토요타 역시 리튬인산철 배터리 활용에 적극적이다. 그밖에 BMW와 벤츠도 이를 고려하고 있다. 원자재 수급, 가격 하락, 안전성 등 여러가지를 고려했을 때 이만한 배터리를 찾기 힘들기 때문이다. 때문에 고가의 프리미엄 전기차에는 하이니켈 타입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적용하고, 엔트리급 보급형 모델에는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넣는 투트랙 형태의 전략을 취할 것으로 보인다.

가까운 미래, 전기차시장은 어떤 국면을 맞이하게 될지, 리튬인산철 배터리의 보편화로 소비자들이 부담없이 전기차를 구매할 시대가 올지 기대가 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4
+1
1
+1
0
+1
9
+1
1

14

  1. 현직 밧데리 skon 생산직입니다만 이래나저래나 언플하고 인산철 쓴다해도 2차전지쪽은 한국업체가 갑입니다. 선택지가 없는데. 짱구 돌리는겁니다. 포드가 강행한다면 제무덤 파는거고 허루가 멀다하고 현대 미쓰비씨 기타등등 현장 손님 엄청옵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