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보조금 지급 지역은 ‘서울’

넥쏘

서울시는 지난 2018년 54대 보급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누적 2889대 수소 승용차 보급을 지원해 왔다. 올해는 250대를 대상으로 지원을 진행한다. 보조금은 지난해와 같은 대당 3250만 원으로, 현재 신청 가능한 차종은 현대차의 넥쏘 1종이다. 구매자는 7000만 원가량의 수소 승용차를 반값 정도에 구매할 수 있다.

개인은 1인당 1대, 개인사업자·법인·단체 등은 1개 업체당 20대까지 신청할 수 있다. 수소차를 구매하면 보조금 외에 개별소비세 400만 원, 지방교육세 120만 원, 취득세 140만 원 등 최대 660만 원의 세제 혜택이 제공된다. 이 밖에도 친환경차량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시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50% 할인, 남산 1·3호터널 혼잡통행료 면제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② 보조금 신청 방법 및 조건은?

넥쏘

보조금 신청은 오는 8일부터 수소차 판매 대리점을 통해 신청 가능하다. 신청에 필요한 필요한 서류는 별도의 원본 제출 없이 누리집에 등록하면 된다.

신청 조건은 구매 지원 신청서 접수일 기준 30일 이전부터 연속해 서울시에 거주하거나 주사무소로 사업자등록을 한 개인, 법인, 단체, 공공기관이면 가능하다. 개인은 1인당 1대, 개인사업자·법인·단체 등은 1개 업체당 20대까지 신청할 수 있다. 

③ 말로 끝나선 안 될 충전 인프라 확대

넥쏘

이번 보조금 관련해 한 서울시 관계자는 “시민들이 더욱 편리하게 수소차를 이용하실 수 있도록 수소 충전소 인프라 확대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 현재 인프라는 어떨까? 

서울시만 놓고 봐도 부족하다는 건 여실히 드러난다. 서울시 내 수소 충전소는 양재, 상암, 국회 등 9개소다. 반면 서울시 내 전기차 충전기는 3만 5000기다. 그나마 서울은 도심에 충전소가 위치한 경우가 많지만, 가까운 경기만 나가도 고속도로 휴게소나 도심에서 접근이 어려운 외곽에 위치한 경우가 많다보니 넥쏘 운전자들에겐 불만 일 수 밖에 없다. 

넥쏘

이러한 불편함을 고려해 지난해 이동형 충전소가 등장했다. 넥쏘 차주들은 하나같이 이동형 충전소의 등장으로 수소차를 사야 할 이유가 더 늘었다며 반색했다.

그러나 규제가 지나치게 많다보니, 호응이 좋아도 이동형 충전소를 대폭 늘리기 어려운 실정이다.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도서관, 호텔, 극장 등에서 20m 가까이 떨어져야 부지를 마련할 수 있는데, 아파트 등 공동주택 근처여서도 안 되고 철도·지하철 역사와도 가까워선 안 된다. 아직 충전소에 대한 안전 우려가 큰 탓에 규제가 이중삼중으로 쌓였다.

④ 인프라 말고도 ‘이것’도 손봐야

넥쏘

사실 인프라 외에도 손봐야 할 것은 하나 더 있다. 바로 수소 가격이다. 수소 가격이 오르면서 같은 친환경 차인 전기차와 비교했을 때 수소차의 가격 경쟁력은 점점 떨어지고 있다. 현대차 넥쏘의 연료 탱크 용량은 6.33㎏으로, 완충하면 약 5만9000원(전국 평균가 ㎏당 9341원 기준)이 든다. 넥쏘 연비(㎏당 96.2㎞)를 고려하면 100km를 1만원에 가는 셈이다. 

반면 배터리 용량이 77.4kWh인 전기차 아이오닉5를 완충하는 데는 2만6000원(급속 충전 요금 kWh당 347원)이 든다. 전기차 아이오닉5는 6700원이면 100㎞를 갈 수 있어 수소차 연료비가 전기차보다 49.3% 정도 비싼 셈이다.

넥쏘

이렇게 가격 차이가 나는 이유는 뭘까? 이유는 다름 아닌 ‘생산 원가 상승’이다. 국내에서는 대부분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면서 부산물로 수소를 만드는 ‘부생수소’나 LNG에서 추출하는 ‘개질 수소’를 유통하고 있다. 그런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글로벌 유가가 상승해 원가 자체가 상승했고, 운반료도 덩달아 올랐다. 

업계에서는 수소 공급 단가가 kg당 4000원대로 내려가야 가격 경쟁력이 있다고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수소차 공급과 수소 생산이 함께 늘어나야 규모의 경제로 선순환이 될 거라고 본다”고 했다.

■ 다른 지자체도 상황은 비슷

서울 외에도 충주, 양양, 하남, 강원도 등 여러 자체에서 현대 넥쏘 지원을 하고 있었다. 지원 금액과 규모는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서울과 마찬가지로 충전 인프라 문제와 수소 가격 이슈는 신경 쓸 필요가 있어 보였다. 과연 이런 요소들에 대해 올해 지자체들은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 기대가 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1
+1
0

2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