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 결국 중국산 배터리 선택
미 규제 피하기 위해 꼼수까지 고려
한국산 배터리 의존도 낮추기 위한 노림수 분석

F-150 라이트닝 생산 재개
SK온 배터리 품질 문제?

포드

배터리 문제로 생산이 긴급 중단되었던 포드의 주력 전기 픽업트럭 F-150 라이트닝의 생산이 6주 만에 재개됐다. F-150 라이트닝에 적용된 배터리는 한국 제조사인 SK온이 공급을 맡고 있어 생산 중단 이슈는 더욱 화제였다. 중단 사유는 미국 미시간주 디어본 공장 출고 대기장에서 사전 품질 검사를 받던 F-150 라이트닝 한 대가 충전 중 화재를 일으키자 그 직후 생산라인을 멈춘 것이 원인이 되었다.

포드

지난 2일 CNBC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포드는 SK온 배터리를 탑재한 F-150 라이트닝 생산을 오는 13일부터 재개한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당시 포드는 화재의 책임을 배터리 공급사인 SK온에 전가하는 듯한 뉘앙스의 성명을 내놔 논란이 됐다. 포드는 “출고 전 품질 점검에서 잠재적인 배터리 품질 문제가 나타나 조사 중”이라며 “우리가 찾아낸 대책을 배터리 생산 절차에 적용하는 데 몇 주가 걸릴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화재의 원인이 SK온 배터리에 있다는 의미였다. 이에 대해 SK온 측은 화재가 “일회성 문제로 원인 규명을 완료해 재발 방지 대책까지 마련했다”라며 입장을 밝혔지만 내부적으론 포드가 불필요하게 일을 키웠다는 여론이 팽배한 것으로 전해졌다.

포드, CATL과 협력 시사
한국산 배터리 배제하나?

포드당시 업계에서는 포드가 중국 배터리 제조사 CATL과의 협력을 의식해 화재의 책임을 SK온에 전가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F-150 라이트닝 생산 중단 사태 이후 포드가 CATL과 합작해 미국 내 대규모 배터리 공장을 설립하겠다고 발표했고, 다음 날 화재의 책임을 SK온에 있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포드는 중국 배터리 사용을 사실상 금지하는 미 인플레감축법(IRA)을 우회하기 위해 ‘공장 지분은 100% 포드가 소유한다’는 꼼수까지 동원해 공장을 설립하기로 하면서 논란까지 불러일으켰다. 2026년 완공될 공장에서는 연간 40만 대 분량의 배터리가 생산될 것으로 전해졌다. 포드는 “CATL은 협력 과정에서 중국에서 생산된 배터리 제조설비를 설치할 것”이라며 “미국에서 배터리를 생산하는 것은 배터리 독립에 더 가까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포드포드가 중국 배터리 최대 기업 CATL과 손잡자 자국 내에서도 비난 여론은 거셌다. 미국의 세금을 CATL을 위해 낭비할 수 없다는 여론을 피할 수 없었다. 이 같은 논란을 감수하면서도 포드가 CATL과 손을 잡은 건, 포드가 SK온에 배터리 공급을 전적으로 의존하는 구조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즉, CATL이 주력으로 내세운 저가형 배터리인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통해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한국 배터리와의 가격 경쟁을 시키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것이다.

심각한 공급차질, F-150 라이트닝
출고 이슈로 발목 잡히나?

포드포드는 생산 재개 일정을 발표하면서도 화재 발생 원인이나 이에 대한 해결 방안 등 구체적인 정보 공개는 밝히지 않았다. 한편 F-150 라이트닝은 포드의 주력 전기차 상품이다. 지난해 4월 최초의 전기 픽업트럭으로 시장에 출시됐다. 현재 F-150 라이트닝의 예약 주문은 20만 대 이상이 밀려있지만 공급 차질로 인해 단 2만 대 정도만 인도된 것으로 알려졌다. 과연 생산일정을 맞추며 향후 CATL 배터리만 사용할지, SK온 배터리와 함께 병행할지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겠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1
+1
0

1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