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초만에 화재, 아이오닉 5 교통사고

부산소방재난본부

지난 4일 부산 강서구 남해고속도로 서부산톨게이트에서 아이오닉5 화재가 발생했다. 이 차는 톨게이트 충격 흡수대에 강하게 충돌했으며,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 2명이 그자리에서 사망했다. 경찰에 따르면 아이오닉5는 충돌 후 3초만에 화염에 휩싸였고, 소방차로 화재를 진압하려 했지만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소식이 전해지자, 전기차 불신론이 거세졌다. 교통사고로 화재가 발생하면 속수무책이라는 의미다. 특히 탈출 여유도 없이 차 전체가 불길에 휩싸일 정도면 전기차를 구매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현재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화재가 화두로 떠올랐다. 주차 상태에서 갑자기 화재가 발생하거나 전기차 충전 중 전소된 사례도 존재한다. 또, 이번 사고처럼 추돌사고로 적잖은 피해를 본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경찰과 현대차, 그리고 사고 조사 관계자들은 사고수습과 함께 불필요한 오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발빠른 조사를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결과 나온 아이오닉 5 추돌사고

사고 초기 아이오닉5 화재에 대해 배터리 열폭주 현상이 탑승객 사망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됐었다. 하지만 차량 데이터가 분석됨에 따라 직접적인 사유는 아니라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참고로, 배터리 열폭주 현상이란 물리적, 화학적 문제로 배터리 내부가 급격히 뜨거워져, 폭발 혹은 화재로 이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정확히는 전기차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을 나누는 분리막이 손상돼, 두 극이 직접 만나게 되면서 막대한 열이 발생하고, 내부를 가득 채우고 있는 전해액이 끓기 시작하면서 1차 폭발이 발생한다. 이후 외부로 흘러나온 전해액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게 된다. 이 전체 과정을 열폭주 현상이라 부른다.

하지만 사고 당시의 분석결과를 보면, 톨게이트 추돌 직전 속력은 시속 90~100km에 달했으며 사고 직전까지 브레이크를 밟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두 사람 모두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음을 끄기위해 ‘안전벨트 클립’을 껴둔 상태로 조사된 것이다.

결국 사고 이후 강한 충격에 의해 먼저 사망하게 됐고, 이후 화재가 발생하면서 전소 됐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시속 90km 이상의 속력으로 부딪히면 어떠한 차량이라도 큰 손상은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편 이번 아이오닉5와 같은 전기차들이 저속에서도 화재위험이 있다는 확대 해석을 해선 된다는 주장 역시 힘이 실리고 있다. 이만한 충격은 배터리의 보호장치가 아무리 우수해도 버틸 수 없다는 것이 이유다.

전기차 화재나면 끌 수 없는
결정적인 이유

이번 사례를 보면 전기차 화재를 진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기차 배터리는 구조상 불을 끄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밀폐 되어 있는 구조고, 산소를 필요로하는 ‘연소’과정이 아닌 배터리 자체의 화학 반응으로 엄청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화재진압이 매우 어렵다.

특히 배터리 밀도가 매우 높아 소방차에서 분사하는 물만 갖고는 배터리 온도를 낮춰 열폭주 현상을 잠재우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주변 여건이 좋지 못한 경우엔 차량이 완전히 전소할 때까지 놔두는 경우가 많다. 또한 소화기의 경우 여러 타입이 있지만 전기차 화재는 어디에도 속하지 않기 때문에 소용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화재를 진압할 방법은 없는 것일까? 다행이 있기는 하다. 배터리가 식을 때 까지 엄청난 양의 물을 들이 붓는 방법이 사실상 유일하다. 어찌보면 강제로 열을 식히는 과정으로 볼 수 도 있겠다. 실제로 이러한 과정으로 전기차 화재를 해결한 사례가 있는데, 미국에선 테슬라 차량 화재를 해결하는데 11만 리터의 물을 들이 부은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에선 아예 차를 들어서 강으로 던지기도 한다. 실시간으로 엄청난 양의 물을 퍼다나르기 어려운 만큼 심플하게 강으로 던지는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