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블로그_메종드은랑

패스트패션 브랜드 포에버 21은 국내의 번화가에서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미국으로 이민 간 한국인 부부가 창업한 포에버 21은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승승장구하여 세계적으로 유명한 패션기업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확장을 이어오던 포에버 21은 어느새 위기의 순간을 맞았는데요. 매출의 급락과 함께 6조 원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던 창업자 부부는 현재 8억 원에 달하는 자산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패스트패션 시장에서 꿋꿋하게 자신의 자리를 지켜온 포에버 21은 어떤 이유로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을까요? 오늘은 포에버 21의 창업 초기부터 근황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인 부부가 창업한 포에버21


포브스

포에버 21은 한국에서 미국으로 이민 간 한국인 부부에 의해 설립된 브랜드입니다. 포에버 21의 창업자 장진숙, 장도원 부부는 1981년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무일푼으로 미국에 이민을 갔습니다. 그들은 처음 미국에 갔을 때 직업이 없어 주유소에서 일하며 접시 닦기, 사무실 청소, 미용실 보조 등 밑바닥에서부터 다시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주유소에서 일할 당시, 좋은 차를 모는 손님들에게 직업을 물어보면 의류업이라 말하길래 단순히 옷 가게 창업을 꿈꿔왔으며, 돈을 모아 1984년에 로스앤젤레스 한인 타운에 옷 가게를 열었습니다.

인사이트

당시 이름도 마땅히 없던 옷 가게였지만 장진숙은 한국인 특유의 성실함으로 열심히 일하면서 패션계의 흐름도 놓치지 않으려 했습니다. 가난했기에 아이들의 옷 세탁비가 만만치 않아, 몇 번 입고 버릴 만한 값싼 옷을 없을까라는 생각을 자주 했었다고 합니다.

패션엔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2주일 만에 옷을 생산하는 패스트패션을 활용하여 의류 제작을 시작했으며, 이는 또한 최신 유행의 아이템을 바로바로 적용할 수 있고 가격 또한 저렴했기에 미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이후 차근차근 사업을 확장시킨 그들은 미국, 중국, 영국, 호주 등 해외에 총 500여 개가 넘는 매장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포에버 21의 전성기


중앙일보

소비자의 욕구를 재빠르게 파악하고 반영한 그들은 패션계에서 소위 말하는 대박의 길을 걸어갔습니다. 2012년에는 장진숙 씨가 미국에서 자수성가한 여자 부자 1위 자리를 차지하기도 했으며 당시 매주 20% 이상 주가가 상승하는 기록을 선보였습니다. 그렇게 포에버 21의 성공이 절정에 달했을 때, 장 씨 가족은 거의 60억 달러의 순자산을 가지고 있었는데요. 스페인의 자라, 스웨덴의 H&M 등 세계적 SPA 브랜드와 경쟁하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으며 한때는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패션 시장에서의 몰락


시선 뉴스

하지만 이렇게 잘나가던 포에버 21은 어느 순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글로벌 기업 포에버 21이 몰락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로 우선 경영에만 치중해 사업 확장만 하였던 것입니다. 그들은 단기간 내 수백 개의 매장을 여는 등의 초고속 성장만 추구하다가 정작 가장 중요한 소비 트렌드를 농쳐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못했습니다.

노트 포럼

최근 세계 곳곳의 젊은 층들은 온라인이나 개인 마켓과 같은 다른 소매업체들을 통해 못을 구매하는 추세입니다. 그들은 대중의 취향이 똑같은 옷이 아닌 나만의 개성을 살려주는 독특한 옷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포에버 21은 매장을 더 늘려 더 많은 사람에게 같은 디자인의 옷을 판매하는 등 현재 소비 트렌드를 역행하는 전략을 보이고 있는데요. 이러한 전략은 포에버 21은 판매 부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패스트패션은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으로 여겨져 그 인기가 하락하고 있기에 포에버21 또한 자연스레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마케팅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인사경영에 있어서도 문제를 보였는데요. 포에버 21의 내부 직원 평가도는 최악으로 드러났습니다. 최근 경제신문지 최근 경제 전문지 24/7이 익명 리뷰에 기반한 직장, 상사 그리고 연봉 평가 사이트 ‘글래스도어’와 함께 미국 직장인들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포에버 21은 평점 2.5(5점 만점)으로 미국 내 모든 기업 중 ‘최악의 직장’에 뽑혔습니다.

설문 응답자들을 부족한 베네핏(오버타임 포함)과, 직원들의 희생을 강요하는 불공평한 규정, 그리고 직장 내 강압적 문화 등을 최저 평점의 이유로 꼽았죠. 지난 2012년에는 포에버 21에서 일했던 5명의 직원이 포에버 21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모 기업 인사 담당자는 “외부 평가가 아무리 박해도 직원 만족도가 높고 단합이 잘 되면 그 기업은 희망이 있다”며 “하지만 직원이 직장에 대한 애정이 없고 비전을 보지 못한다면 추락하는 것은 생각보다 훨씬 빠르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를 통해서도 포에버 21이 몰락한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전자신문

이와 같은 상황에 업계 분석가들은 포에버 21의 올해 매출이 20~25% 감소했다고 추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미국 매장들의 폐쇄가 잇따르고 있으며, 구조조정 상황을 대비해 자금조달 방식을 찾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잘나가던 패션기업이 어느새 큰 난관에 부딪혔는데요. 이 난관을 어떻게 현명하게 대처해나갈지 포에버 21의 앞으로 행보가 궁금합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