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글 – 무단사용 절대금지

결국 우려했던 일이 터졌다. 올해 초 대비 3~4배가량 급등한 자동차 할부 금리로 인해, 신차 계약이 줄줄이 취소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완성차 업계에서는 반도체 수급 불안정으로 수년째 신차 출고가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할부 금리 급등은 자동차 소비 심리를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를 내고 있다.

과연 급등한 자동차 할부 금리는 어느 정도일까?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자.

① 3~4배? 더 커진 이자 부담

이달 초, 신차를 구입할 때 최대 1억 원까지 카드사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자동차 할부 금리와 관련해 자동차 업계와 여신금융업계에 따르면 올해 2%대였던 금리가 현재 7~10% 수준으로 높아진 상태다. 문제는 자동차 할부 금리가 계약 시점이 아닌 출고 당시 고정 금리로 정해지는 만큼, 지난해 말이나 올해 초에 신차를 계약한 소비자가 지금 차량을 인도받는다면 이자 부담이 3~4배 커지게 된다.

예를 들어 지난해 말 그랜저를 5000만 원에 사려는 A 씨가 이중 20%를 현금으로 선납입하고, 나머지 80%를 3% 금리에 36개월 할부로 결제하게 된다면 A 씨가 매달 내야 할 금액은 약 115만 원이다. 또한 A 씨가 3년간 내야 할 이자 총액은 180만 원 수준이다.

그러나 이달 같은 가격의 차량을 구입할 때 금리 8%가 적용된다면 월 납부금은 125만 원, 3년간 이자 총액은 약 510만 원으로 급격히 오른다. 소비자로선 할부 금리가 높아진 만큼 신차 구매에 들어가는 비용이 늘어나는 것이다.

② 분명 금리가 올랐는데, 뜻밖에 이득을 본 곳이 있다?

ⓒ카글 – 무단사용 절대금지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잇달아 취소되는 신차 계약은 일반 소비자 뿐만이 아니라 법인에서도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 판매 영업점 직원 B 씨는 “할부 금리가 부담된다며 차량을 대량 발주한 뒤 갑자기 계약을 파기하는 렌터카 업체가 늘고 있다”며 “최근 6개월 새 법인 물량 중 30% 이상 계약이 취소됐다”고 전했다.

일각에서 신차 계약 취소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판매량 감소를 우려했으나, 실제로는 당장에는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름 아닌 반도체 수급난 여파로 생긴 대기 물량이 여전히 밀려 있기 때문이다. 올해 3분기 기준으로 글로벌 자동차 시장 주문 대기량은 현대차가 약 100만 대, 기아는 약 120만 대다. 따라서 계약이 취소된 물량이 나올 경우, 후순위에 있던 대기자에게 해당 차량이 배정되기 때문에, 우려했던 데로 판매량 수치가 당장 줄어들지는 않는다.

ⓒ카글 – 무단사용 절대금지
ⓒ카글 – 무단사용 절대금지

오히려 취소분이 늘면서 최근 일부 차종에서 신차 출고 대기 기간은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차종별로 보면 지난달 계약 기준 10개월이었던 아반떼 1.6 가솔린의 예상 출고 대기 기간아 이달 9개월로 줄었고, 지난달 24개월인 싼타페 하이브리드는 이달 20개월로 단축됐다.

그러나 이런 추세에도 불구하고, 매달 출고 기간이 늘어났던 제네시스 GV80 가솔린 2.5 터보의 이번 달 출고 대기 기간은 지난달과 마찬가지로 30개월 그대로 유지되었다.

③ 결국 ‘고금리 인상’ 돌을 맞은 곳은 ‘이곳’

한편 이번 고금리 영향으로 ‘이곳’이 있었다. 바로 중고차 시장이다. 업계에 따르면 중고차 시장은 이미 가격 하락이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신차 출고 기간이 지체 됨에 따라 한때 중고차 가격이 신차를 역전했던 때도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옛말이 됐다.

중고차 플랫폼 업체 케이카에 따르면, 지난 10월 3939만 원이었던 현대차 쏘렌토 하이브리드 4세대의 중고차 가격은 지난달 11월 3889만 원으로 떨어졌다. 롯데렌탈의 중고차 경매 브랜드 롯데오토옥션은 자체적으로 집계하고 있는 ‘중고차 종합 가치 지수(LUPI)’가 10월 1183 포인트에서 11월 1167 포인트로 소폭 떨어졌다고 밝혔다.

■ 문제는 여기서 끝이 아니다

소비자들을 혼돈에 빠뜨린 자동차 할부 금리 급등, 초반에는 피해보다 출고 대기가 역으로 줄고 있는 상황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 문제는 장기화되었을 때다. 할부 금리가 더 오르거나, 장기화될 경우 이때는 정말 판매량에 타격을 입힐 수 있는 대규모 취소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과연 이러한 생황이 실제로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제조사와 정부는 어떤 대책을 내놓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